남북분단의 상징! 승일교.(8).
승일교...
1945년 일제 패망 직후, 철원군 일원이 소련군정을 거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실효지배 영역에 속하던 1948년 한탄교라는 이름으로 착공되었다고 한다...
설명에 의하면 철원농업전문학교 토목과장이었던 김명여의 설계로
러시아식 공법의 아치교로 설계된 이 다리는
동송읍 쪽의 아치교각만 완성된 상태에서 한국 전쟁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952년 주한 미군 79 공병대와
국군 62공병대가 갈말읍 쪽 교각과 보를 완성, 1958년 개통하고
승일교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승일교를 걸어보기 위해 부지런히 교각입구로 향하는 탐방객들...
교각 오른쪽의 동산으로 한탄강을 따라 연결된 산책로
'한여울길'이 목계단으로 안내한다..
앞쪽 시멘트아치형 다리가 '승일교'이고 뒤의 철제아치형 다리는 '한탄대교'이다..
교각을 거너면서 보는 아름다운 한탄강과 얼어붙은 폭포가 환상적이다..
승일교란 명칭?...
철원군 지역 주민들 사이에는 김일성이 시작하여 이승만이 끝냈다고 하여 이승만의 '승'자와 김일성의
'일''자를 한자씩 따서 승일교라 했다는 설과 '김일성을 이기자'고 해서 승일교라고 했다는 설이
전해지나 현재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한국 전쟁 중 큰 공을 세우고 조선인민군에게 포로로 끌려간
박승일(朴昇日, 1920년 ~ ? ) 연대장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서 승일교라고 지어졌다는 것이며
1985년 세워진 승일교 입구의 기념비에도 이를 정설로 소개하고 있다...
탐방일자 : 2014/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