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풍문화재단지..
청풍은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문물이 번성했던 곳으로 많은 문화 유적을 갖고 있었으나
충주댐 건설로 청풍면 후산리, 황석리, 수산면 지곡리에 있던 마을이
문화재와 함께 수몰될 위기에 있었다. 충청북도청에서는 1983년부터 3년간 수몰 지역의
문화재를 원형대로 현재 위치에 이전, 복원해 단지를 조성했다..
단지에는 향교, 관아, 민가, 석물군 등 43점의 문화재를 옮겨 놓았는데
민가 4채 안에는 생활 유품 1,60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고려 때 관아의 연회 장소로 건축된 청풍 한벽루(보물 528)와 청풍 석조여래입상(보물 546) 등
보물 2점과 청풍부를 드나들던 관문인 팔영루(충북유형문화재 35), 조선시대 청풍부 아문인
금남루(충북유형문화재 20), 응청각(충북유형문화재 90), 청풍향교(충북유형문화재 64) 등
건축물 및 옛 도호부 시대의 부사나 군수의 송덕비, 선정비, 열녀문, 공덕비 등이 세워져 있다..
자료 ㅣ 청풍문화재단지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팔영루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5호>..
조선시대에 청풍부를 드나드는 관문이었던 누문.. 아래는 문이고 위에는 누각의 형태로 되어 있다..
고종(재위 1863∼1907) 때의 부사 민치상이 청풍 8경을 노래한 팔영시로 인하여 팔영루라 불리게 되었다고..
연리지..
연리는 두몸이 한몸이 된다하여 남녀간의 애틋한 사랑과 흔히 비유하였다는데 알기쉽게 '사랑나무' 라고도 부른다..
응청각 <충북 유형문화재 90호>..
이 건물의 용도는 알 수 없으나, 본래 한벽루(탐방했을 때 보수공사 중이라 촬영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의 좌측에 나란히 세워져 있었다는데 처음 세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명종 초 이황 (1501~1570)이 단양군수로 있을때 '응청각'이라 이름하였다고 한다..
금병헌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 34호>..
이곳은 청풍부의 청사로 쓰였던 동헌건물이다..
금남루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호>..
이곳은 청풍부의 아문으로 '도호부절제아문'이란 현판이 걸려있는데
순조25년(1825)에 청풍부사 조길원이 처음 세우고 현판도 걸었다고..
자연학습원 ..
꽃밭 - 구절초, 한라구절초, 해국, 쑥부쟁이, 빗자루국화 등
탐방일자 : 2016/11/7
'국내 탐방 > 문화유적, 고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담이 남아 있는 아름다운 옻골마을..(34) (0) | 2016.12.12 |
---|---|
조선시대 육군 총지휘부! 전라병영성..(15) (0) | 2016.12.11 |
근현대 서양화의 대가인 오지호가옥..(5) (0) | 2016.12.03 |
2C 말 축조된 고모산성..(25) (0) | 2016.12.02 |
식영정 바로 곁에 지은 서하당..(6) (0) | 2016.11.28 |